아름다운 세상을 위한 교육공동체
MEMBER LOGIN
공지사항
  1. 자생님의 함양수련원 정원 가꾸기 일기가 시작되었습니다.
  2. 통찰력게임 온라인에서 하기
  3. [소식지 42호] 생명력 카드-감사
  4. [소식지 41호] 창조적 통찰의 조건 속에 있는 사람
  5. [소식지 40호] 통찰은 경험에서 자유로울 때 일어난다
  6. [소식지 39호] 직관은 단편이다
1
1
100일 학교에서는 끊임없는 일깨움과 힌트를 주는 안내자와의 생활을 통해 스스로 해내기 힘든 깨어있는 삶에 대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몸, 마음에 그 삶이 ‘배이도록’ 하면 이제 일상에서도 기존의 관성에 휘둘리지 않는 힘을 얻게될 것입니다. 이 일기 난에는 마음의 힘을 기르기와 일상의 통찰일기, 관성다루기 관련 글이 실립니다.

. 마음의 힘을 기르기 : 우리는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작은 일이라도 꾸준히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더라도 멈추지 않고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빼놓지 않고 행하는 이 지속적인 행동을 통해 마음의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 꾸준함을 통해 어떤 일이 벌어져도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 터득되기 때문입니다.

- 관련 페이지 :
- 청년백일학교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청년백일학교를 후원합니다 : 자원이 있는 사람이 자원이 없는 사람을 도와주는 건강한 시스템

(무지) 80일 - 느끼는 것이 아닌 느끼게 되는 것
by 신현동 on 23:04:40 in 일기

80일 일기

 

2019829일 목요일

 

주제 : 관찰에 대한 탐구 - 느끼게 되는 것

 

오늘 느낀 것

 

: 처음엔 대상과 대상에 대한 관찰하는 나로 시작했다. 그러다가 대상이 딱히 정해져있지 않은 그저 보여지는 관조가 되었다. 특정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느끼지 않아도 다 느껴진다. 이 때엔 나라는 느낌이 딱 있는 것이 아닌, 개별성이 있는 상태가 아닌지라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해도 내가 했다는 느낌이 없다. 그런 것들이 일어나는 것이 보이고, 그런 것들이 일어나기 이전의 느낌이 일어나는 것이 보인다. 그러나 이것 또한 하나의 상태이다. 먹는 것 앞에서 강하게 반응하여 어느 새 뭔가를 이미 먹고 있다가 뒤늦게 알아차리고 다시 보여지는 관조상태가 된다. 그리고 무언가에 열중하는 동안엔, 이를 테면 창고에서 신발을 갈아신는 동안 그것에 몰입할 때는 보여지는 느낌이 없다. 그 땐 다른 방식으로 몰입 속에서 내가 없다.

그리고 관조를 살펴보면 관조 될 때 느껴지는 것은 존재감이다. 그렇다면 먹을 것이나 몰입에 빠져있다가 관조가 일어나는 것을 알아챈다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무엇일까? 이것이 포인트이다. 관조가 나타나는 것을 어떻게 아는 것인가? 관조가 일어날 때의 느낌은 어떤 느낌인가?

그 느낌의 정체는 존재감이 일어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를 잘 보면 주체(관조하는, 느낄 수 없는) - 존재감(느낌) - 대상 (몸 어딘가, 주로 머리쪽)이 일어나는데, 이 주체에 대해선 알 수 없지만, 존재감이 느껴진다는 것은 존재감을 느끼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고, 존재감이 일어났다는 것은 존재감을 느끼는 무언가인 주체와 대상과 이에 대한 느낌으로 존재감이 함께 나타났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주체-대상-느낌이 동시에 함께 일어난다는 것은 존재감이 일어났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딘가에 빠져있을 때 느끼려는 의도가 없더라도 느낌을 느끼고 분별하는 주체가 있고, 어쨌거나 그리하여 느껴지고, 관찰하는 나 또한 관조하는 주체가 있을 때도 느낌은 느껴진다. 관조 될 때는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일 때보다 분명하고 선명하게 느낌들이 느껴진다.

그런데 관조상태가 지속되다보면, 관조를 지속하는 것이 이 주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된다. 관조는 일어나지고 켜져서 관조하는 주체가 느끼는데, 그 주체는 느껴야지해서 느끼는게 아니라는 뜻이다. 그 주체 또한 본인의 의도와 상관 없이 떠올라서 의식적으로 깨어있는 상태가 되어서 의식적으로 모든 것들을 느끼게 된다’.

즉 다시 말하면 관조하는 주체도 느끼는 주체라기보다, “느끼게 되는 주체인 셈이다. 주체로 인해 분리되어있는 존재감을 느끼게 되고’, 그 주제가 경험에 빠지게 되면 그 때에도 그 주체는 제 기능을 발휘하여 느끼게 된다’. 즉 주체의 기능은 무언가를 느끼는 것인데, 그것은 사실 주체가 하려고 해서 하는 게 아니라, 그렇게 디자인되어서 그렇게 행하게 될 뿐이다. 그래서 주체 또한 제 기능을 충실히 한다기보다 충실히 하게 되는놈인 것이다.

지금 말하는 것의 포인트는 된다는 것이다. 주체가 느끼게 되는것이라면, 진정 느끼는 것은 누구인가? 누구에 의해 느끼는가? 그리고 누구에 의해 모든 것이 느껴지는가? 이것을 품고 오늘 하루를 마무리해야겠다.

Tag :


새댓글 쓰기

100일 학교에서는 끊임없는 일깨움과 힌트를 주는 안내자와의 생활을 통해 스스로 해내기 힘든 깨어있는 삶에 대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몸, 마음에 그 삶이 ‘배이도록’ 하면 이제 일상에서도 기존의 관성에 휘둘리지 않는 힘을 얻게될 것입니다. 이 일기 난에는 마음의 힘을 기르기와 일상의 통찰일기, 관성다루기 관련 글이 실립니다.

. 마음의 힘을 기르기 : 우리는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작은 일이라도 꾸준히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더라도 멈추지 않고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빼놓지 않고 행하는 이 지속적인 행동을 통해 마음의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 꾸준함을 통해 어떤 일이 벌어져도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 터득되기 때문입니다.

- 관련 페이지 :
- 청년백일학교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청년백일학교를 후원합니다 : 자원이 있는 사람이 자원이 없는 사람을 도와주는 건강한 시스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등록일
Total 5546 Posts
1,136
김성욱
13 19-09-13
1,135
신현동
19 19-09-13
1,134
신현동
12 19-09-13
1,133
신현동
11 19-09-13
1,132
김성욱
11 19-09-12
1,131
김성욱
9 19-09-11
1,130
전영지
24 19-09-10
1,129
김성욱
12 19-09-10
1,128
전영지
24 19-09-10
1,127
매화
16 19-09-10
1,126
김성욱
7 19-09-09
1,125
매화
13 19-09-08
1,124
김성욱
9 19-09-08
1,123
매화
15 19-09-08
1,122
신현동
38 19-09-08
1,121
김성욱
13 19-09-07
1,120
매화
11 19-09-06
1,119
김성욱
9 19-09-06
1,118
신현동
13 19-09-06
1,117
신현동
8 19-09-06
1,116
매화
19 19-09-05
1,115
김성욱
11 19-09-05
1,114
매화
9 19-09-05
1,113
김성욱
8 19-09-04
1,112
매화
13 19-09-04
1,111
신현동
10 19-09-03
1,110
김성욱
11 19-09-03
1,109
매화
14 19-09-03
1,108
신현동
11 19-09-02
1,107
신현동
7 19-09-02
통찰력 딜러/마스터 모심

신청분야

또래상담을 위한 통찰력 미니게임 보급, 통찰력게임 키트를 보급하는 딜러교육, 딜러와 미니게임 안내자를 교육하는 마스터 교육

문의 : 홀로스평생교육원
전화 : (055) 962-8821
팩스 : (0504) 200-7261
메일 : cpo@herenow.co.kr
홀로스 평생교육원 함양연수원 :
(055) 962-8821

보내실 내용 : 참가를 원하는 분야, 간단한 이력

기부 및 후원

계좌이체로 후원하실 분께서는 아래 사항을 입력하시고 입금해 주세요.

후원금액 :

청년백일학교 후원 : 1계좌 120만원, 매달 5만원씩 2년간 후원하시면 청년들을 위한 백일학교 장학금으로 쓰입니다(회원으로 가입해야만 후원이 가능합니다).

문의 : 홀로스 평생교육원
전화 : (055) 962=8821
팩스 : (0504) 200-7261


청년 백일학교 신청
SCHEDULE
  • 제 1차 통찰력게임 퍼실리테이터 교육
    2018-04-08 13:0 ~ 2018-07-29 18:0

서브페이지 내용이 나오는 영역입니다.